Web79 [JavaScript] 행변환 prompt로 입력 받은 값은 문자형이다. 그렇기 때문에 숫자를 입력 받아도 90이 아닌 "90"이 된다. const mathScore = prompt("수학은 몇점인가요?"); // "90" const engScore = prompt("영어는 몇점인가요?"); // "60" const result = (mathScore + engScore) / 2; // "90" + "60" = "9060", "9060" / 2 = 4530 console.log(result); 여기서 "9060" / 2가 연산이 되었던 이유는 자동 행변환 덕분이다.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시스템에서 형변환을 시킨겄이다. 행변환은 아래의 3가지가 있다. 1. String() 괄호 안의 타입을 문자열로 변경해준다. 2... 2023. 4. 20. [JavaScript] alert, prompt, confirm 1. alert alert: 알려줌 (사용자와 상호작용보다는 통보느낌) 2. prompt prompt: 입력을 받음 (사용자에게 어떤 값을 입력받아 값을 사용함.) const name = prompt("이름을 입력하세요."); alert("반갑습니다. " + name + "님!"); prompt는 아래와 같이 인수를 두개 입력해주면 기본 값을 미리 입력해 놓을 수도 있다. const name = prompt("이름을 입력하세요.", "홍길동"); alert("반갑습니다. " + name + "님!"); 3. confirm confirm: 확인을 받음 해당 confirm에 대한 답변은 boolean값으로 받을 수 있다. const isNice = confirm("반가우신가요??"); if (isNice =.. 2023. 4. 10. [JavaScript] 자료형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KF6t61yuPCY 1. 문자형 String 문자형은 아래와 같이 3가지 방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. const name1 = "Mike"; const name2 = 'Mike'; const name3 = `Mike`; 만약 기호로 작은 따옴표(')를 사용하려면 큰 따옴표(")를 사용하던가 슬래쉬(\)와 함께 사용해야한다. const message1 = "I'm a boy."; const message2 = "I\'m a boy."; 2. 변하는 String 값 출력 선언한 상수 값을 String 값에 넣어서 출력하기 위해서는 `와 ${}를 사용해야한다. const name = "Mike"; const age = 30 const message1 =.. 2023. 4. 8. [JavaScript] 변수 1. 변수 선언 아래와 같이 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. 변수를 선언할 때는 ;를 마지막에 사용해주어야한다. name = "Mike"; age = 30; 2. 변수에 접근 alert() //경고창을 띄우는 함수 console.log //로그를 띄우는 함수 위의 사진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. ⚠️ 하지만 여러 사용자가 협업할 때 위와 같이 변수를 사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. 마지막에 선언된 변수의 값으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. ⚠️ 따라서 아래의 키워드를 사용해 해당 부분을 방지할 수 있다. 3. let, const let: 선언 후 다른 값으로 변경 가능한 값 const: 선언 후 다른 값으로 변경 불가능한 값 (상수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대문자로 변수명을 작성하는 것이 좋다.) 4. 변수와 관련된.. 2023. 4. 8. 이전 1 2 3 4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