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선 테스트하기 전 조치를 해야할 것이 있다.
MemberService memberService = new MemberService();
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=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
우리는 위의 코드와 같이 필요할 때마다 객체를 새로 만들어 주고 있다. 다만 이렇게 되었을 때의 문제 점은 테스트 할 때마다 매번 새로운 객체를 만들면 테스트 간에 공유해야 할 데이터나 상태가 초기화되어 일관성이 없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.
즉, 한 객체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 다른 테스트에서 그 데이터를 확인해야 하는데, 객체가 새로 만들어지면 이전 데이터가 사라져서 테스트가 실패할 수 있다.
따라서 우리는 DI(Dependency Injection-의존성 주입)가능하게 변경해야한다.
//[기존 코드]
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=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
//[바꾼 코드]
public class MemberService {
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;
public MemberService(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) {
this.memberRepository = memberRepository;
}
...
}
이렇게 바꾸면 MemberService는 이제 생성자를 통해 MemberRepository를 주입받는다.
MemberService는 MemberRepository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고, 구체적인 구현체는 외부에서 주입된다.
이제 테스트를 하러가보자.
테스트 할 java 페이지에서 genrate(빈공간 우클릭 후 선택)를 클릭하고 Test...을 클릭해보자.
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뜰 텐데 여기서 테스트 원하는 메소드를 클릭해서 자동으로 테스트 페이지를 만들어보자.
이제 테스트 페이지를 작성해보자.
package section4.section4_spring.service;
import org.assertj.core.api.Assertions;
import org.junit.jupiter.api.AfterEach;
import org.junit.jupiter.api.BeforeEach;
import org.junit.jupiter.api.Test;
import section4.section4_spring.domain.Member;
import section4.section4_spring.repository.MemoryMemberRepository;
import static org.assertj.core.api.Assertions.assertThat;
import static org.junit.jupiter.api.Assertions.*;
class MemberServiceTest {
MemberService memberService;
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;
@BeforeEach
public void beforeEach() {
memberRepository =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
memberService = new MemberService(memberRepository);
}
@AfterEach
public void afterEach(){
memberRepository.clearStore();
}
@Test
void 회원가입() {
//given - 무엇인가 주어졌고
Member member = new Member();
member.setName("hello");
//when - 그걸 받아서 실행했을 때
Long saveId = memberService.join(member);
//then - 어떤 결과가 나와야한다.
Member findMember = memberService.findOne(saveId).get();
assertThat(member.getName()).isEqualTo(findMember.getName());
}
@Test
public void 중복_회원_예외() {
//given
Member member1 = new Member();
member1.setName("spring");
Member member2 = new Member();
member2.setName("spring");
//when
memberService.join(member1);
// [간단한 문법 활용]
IllegalStateException e = assertThrows(IllegalStateException.class, () -> memberService.join(member2));
// memberService.join(member2)을 호출할 떄 IllegalStateException이 발생하면 통과
assertThat(e.getMessage()).isEqualTo("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.");
// [try-catch 활용]
// try{
// memberService.join(member2);
// fail(); //try 부분에서 에러가 뜨지 않는다는 건 중복 닉네임을 허용했다는 의미이기에 에러를 만들어주는 것
// } catch (IllegalStateException e) {
// assertThat(e.getMessage()).isEqualTo("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."); //join 메서드에서 뜬 에러메세지가 맞는지 확인
// }
//then
}
}
중복회원예외 테스트 메소드를 살펴 보자.
[작동 방식]
1. 동일한 이름 회원 2명을 등록한다.
2. 등록했을 때 예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.
예외가 발생했을 때 확인하는 방식은 총 2가지가 있다.
- assertThrows 이용하기
- aasertThat + try catch 이용하기
[assertThrows 이용하기]
IllegalStateException e = assertThrows(IllegalStateException.class, () -> memberService.join(member2));
// memberService.join(member2)을 호출할 떄 IllegalStateException이 발생하면 통과
assertThat(e.getMessage()).isEqualTo("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.");
// 에러 메세지와 설정한 메시지와 동일한지 확인하기
[assertThat + try catch 이용하기]
try{
memberService.join(member2);
fail(); //try 부분에서 에러가 뜨지 않는다는 건 중복 닉네임을 허용했다는 의미이기에 에러를 만들어주는 것
} catch (IllegalStateException e) {
assertThat(e.getMessage()).isEqualTo("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."); //join 메서드에서 뜬 에러메세지가 맞는지 확인
}
'Server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 빈 등록하기 - 2. 자바코드로 직접 빈 등록하기 (0) | 2024.08.25 |
---|---|
스프링 빈 등록하기 - 1.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(0) | 2024.08.25 |
회원관리 - 백엔드 개발) 3. 회원 서비스 개발하기 (0) | 2024.08.24 |
회원관리 - 백엔드 개발) 2. 각각의 repository 메소드 테스트 하기 (0) | 2024.08.24 |
회원관리 - 백엔드 개발) 1. 회원 도메인과 Repository 만들기 (0) | 2024.08.24 |